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쌀의 세계 여러 나라 지역별 종류와 특색 있는 조리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쌀의 종류입니다. 1. 멥쌀 : 우리가 주로 먹는 멥쌀입니다. 멥쌀은 배유 중 전분입자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밀로펙틴이 많을수록 찰지고 끈기가 많습니다. 아밀로펙틴 100%라면 찹쌀입니다. 아무튼 멥쌀은 찹쌀에 비해 밥을 지었을 때 끈기가 적고 단단합니다. 이렇듯 밥의 끈기와 단단한 정도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앞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인디카형의 쌀은 아밀로오스의 함량이 높습니다. 따라서 밥을 지었을 때 밥이 끈기가 없고 단단하며 부슬부슬합니다. 2. 찹쌀 : 아밀로펙틴으로만 이루어진 쌀입니다. 밥을 지으면 차지며 무릅니다. 또 찹쌀 특유의 냄새가 ..
안녕하세요. 달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주로 먹는 곡류인 쌀과 보리 그리고 밀가루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쌀 : 우리가 흔히 먹는 백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사 직후 벼의 왕겨를 벗긴 현미는 또 속겨(과피)로 싸여 있습니다. 속겨층은 섬유가 많고 견고하여 이 층이 있으면 밥이 잘 안 퍼지고 소화도 잘 안됩니다. 따라서 현미는 다이어트 식품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맛과 소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겨층을 제거하여 백미를 만들어야 합니다. 백미는 소화율이 무려 98%나 됩니다. 이렇듯 현미의 겨층을 제거한 것이 바로 백미입니다. 하지만 밀처럼 글루텐 단백질(탄력이 있어서 부풀릴 수 있는 성질)을 함유한 것이 아니므로 반죽하여 부풀릴 수가 없는게 백미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