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감독관 수당, 올해부터 생긴 의자!
- Teacher&Edu
- 2020. 12. 6.
안녕하세요 !_!
오늘은 수능 감독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능 감독관 수당은?
매 년 수능 감독관 수당이 오르지만 동결되는 해도 있습니다. 최근 3년동안 수능감독을 해 본 결과 저희 지역은 1년에 1만원씩 올랐었습니다. 교육청마다 수능감독 수당이 다르며, 가장 짜기로는 서울이 유명합니다.
2020년 기준 서울 14만원이었는데 출장비도 안 줍니다.. 저는 인천인데 15만원이 들어왔었습니다.
또 주는 방법도 교육청마다 다릅니다. 서울은 직접 봉투에 주셨다던데.. 저희는 작년까지는 그랬지만, 올해부터는 계좌이체로 지급받았습니다.
그렇게 수당을 받았지만.. 아빠 생일날 장어 사드리느라 14만원이 깨졌....
예랑이는 서울 + 별도 관리실에서 방호복을 입고 감독했었다고 하는데요. 20만원 지급받았다고 합니다.
학생이 한 명이었다는데, 감독은 둘이라, 학생이 민망해할까봐 적당히(?) 쳐다봤다고 합니다.
2020년부터 생긴 의자!
의자는 예전부터 계속 얘기가 나왔었는데요. 코로나 19와는 무관하게 올해부터 생길 예정이었던 것 같습니다. 감독관 연수 때는 될 수 있으면 앉지 말라고 말씀하셨는데, 검사하는 것도 아니고.. 돌아가면서 앉으시면 됩니다.
올해 의자가 생기고 감독을 해보니, 부감독님의 센스가 중요하다 싶었습니다. 의자는 뒤쪽에 놓여 있으니 처음에는 부감독님이 앉아있다가, 정감독님이 답안지 체크와 결시자 현황을 모두 체크한 후 조금 시간이 지났다 싶을 때, 부감독님이 정감독과 눈을 마주친 후 열렬한 제스처(!)를 통해 서로 자리를 교환하는 방법이 제일인 것 같습니다.
시간상으로는 20~30분씩 번갈아가며 앉는 것이 좋았고, 가끔 센스 없는 부감독님들을 만난다면.. 정감독님들께서는 계속 서계셔야 할지도..
또 몇몇 선생님들은 본인이 젊어서 계속 서있었다고 하거나, 앉으면 오히려 허리가 아파서 서있었다는 선생님들도 계셨습니다. 정해진 규칙이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앉으면 될 것 같습니다.
결론은 확실히 의자가 생기니 시간도 더 잘 가고 아주 약간(개미 꼬리만큼) 수능 감독할 맛이 조금은 더 난다는 겁니다.^^
코로나 19와 수능 감독관
작년과 비교했을 때, 마스크를 써야 한다는 것과 라텍스 장갑을 매 시간 바꿔 껴야 한다는 것 때문에 조금 더 답답했지만, 그나마 의자가 있어서 버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모든 학교에는 '특별 관리실'이 있습니다. 코로나19 관련하여 유증상자인 학생들이 시험을 보는 별도의 교실을 말하는데요. 이 교실 감독 선생님들은 방호복을 입어야 합니다. 특히 일반 교실들과는 다르게, 방송에서 안내되는 "감독관님들은 입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멘트가 나오기 이전부터 준비해야, 복장 착용 등 시간에 맞게 들어갈 수 있다고 하니 혹시나 내년에도 특별 관리실이 운영된다면 참고해야겠습니다.
올해 결시율이 최대였다고 하죠? 실제로 작년에 수능 감독을 했을 때는 한 반에 평균 4~5명 결시였다면, 올해는 결시생 7명인 곳이 많았습니다.
수능 감독관 시간표
내가 만약 B학교로 간다면 B학교의 교사수업시간표, 시험감독시간표를 짜는 업무를 맡고 계신 선생님이 짜십니다.(보통 수업계라고 하죠) 이때 해당 선생님은 수능 감독관으로 차출된 선생님들의 교육경력, 나이, 특이사항, 고등학교인지 중학교인지 등을 고려하여 시간표를 짜게 됩니다.
특히 1년에 한 번뿐인 큰 시험인 만큼, 해당 학교의 관리자들의 의견도 많이 반영되는데요. 가치관에 따라 1교시 정감독을 고경력의 선생님으로 넣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교육경력이 짧은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말 말 그대로 사람이 하는 작업인지라 오류가 없을 수는 없겠지만, 담당 선생님들께서는 나름 최선을 다해 짜는 것일 테니.. 너무 미워하진 맙시다(?!)
마치며..
저는 올해로 고등학교를 떠납니다.. 어쩌면 다시는 수능 감독관을 갈 일이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부디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eacher&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로 인한 학교생활기록부 서술형 항목 기재 방안 (0) | 2021.01.02 |
---|---|
나이스 교원 복무(육아시간 및 가족돌봄휴가) 시스템 기능개선 (0) | 2020.12.12 |
산학겸임교사, 명예교사, 강사 관련 규정(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자격기준) (0) | 2020.11.08 |
기간제교원 관련 규정(교육공무원법, 교육공무원임용령, 사립학교법, 공무원보수규정) (0) | 2020.11.08 |
계약제 교원(기간제, 시간제, 산학겸임교사, 강사) 임용 및 복무 사항 (0)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