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질환(신증후군, 급성만성신부전,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결석증) 식사요법과 신장질환 환자를 위한 식품교환표

 

- 신증후군은 사구제신염, 전신성 혈관염, 간염으로 인한 신장염, 당뇨병성 신증, 악성종양 등과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신증후군의 식사요법으로는 혈압을 조절하고 부종을 치료하며 충분한 열량을 공급하여 근육의 이화 작용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단백질은 표준체중 1kg당 0.6~0.8g으로 하며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하여야 합니다. 지나친 고단백 식사는 사구체의 손상을 유발해 신질환의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열량은 1일 표준체중 1kg당 35칼로리 이상의 충분한 열량이 요구됩니다. 나트륨과 칼륨은 1일 2000~4000mg으로 제한해야 하며 이뇨제 사용 후 칼륨의 과다 손실로 인찬 저칼륨혈증이 있을 경우 칼륨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고지혈증은 신증후군 환자에게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므로 지방 섭취량과 콜레스테롤을 제한해야 합니다.


- 만성신부전은 사구체의 기능저하로 말미암아, 대사산물의 체내 축적과 신장의 내분비 및 대사의 기능 장애에 의해 요독증과 신체 각 기관에서 다양한 이상 현상이 발생합니다. 식사요법으로는 나트륨 섭취량을 제한하여 부종을 예방하고 혈압을 조절하며, 충분한 열량을 공급하여 근육의 이화 작용을 막아야 합니다. 또한 단백질 섭취량을 제한하여 혈액 내의 질소 분해산물 축적을 막고, 요독증을 예방하여 신장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즉, 충분한 열량과 단백질의 제한, 나트륨의 제한이 요구됩니다. 특히 근육의 마비로 손발이 저리고 다리가 무거워지며 혈압이 떨어지고, 부정맥 등의 심장장애 증상을 일으키는 고칼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칼륨 역시 제한하여야 합니다. 칼슘과 인도 이와 같은 이유로 제한하여야 하며, 비타민과 무기질은 엽산과 철분이 포함된 신장환자용 비타민 보충이 요구됩니다.

고칼륨혈증 예방을 위한 칼륨 섭취를 줄이는 방법에는 감자, 고구마, 당근, 무 같은 채소는 얇게 저민 후 따뜻한 물에 최소 2시간 이상 담근 후 헹궈서 냉동시켜 조금씩 사용하기, 푸른잎 채소는 재료의 10배 정도 되는 물에 담갔다 데친 후 사용하기. 등이 있습니다.


- 급성신부전 환자의 약 50%는 사구체여과율 감소로 하루 소변 배설량이 400ml 핍뇨 상태가 지속됩니다. 핍뇨기에는 수분이 체내에 저류되며, 나트륨, 칼륨, 인 등의 배설이 감소되어 체내에 축적됩니다. 또 요독증을 보입니다. 식사요법으로는 열량은 충분히 섭취하고 수분 및 나트륨을 제한하며(1000~3000mg) 단백질 역시 제한하여야 합니다. 고칼륨혈증이 있는 경우는 칼륨도 제한하도록 합니다.


- 혈액투석은 기계를 이용하여 혈액 속의 과잉 수분과 노폐물을 반투과막을 통해 투석액으로 여과 또는 제거하는 것입니다. 혈액투석 중 식사요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혈액투석 자체가 체조직의 이화 작용을 상승시키므로 열량은 정상인에 비해 충분한 열량 섭취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나친 단백질 섭취는 질소노폐물의 체내 과잉 축적으로 요독증을 유발하며 양의 질소 평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주 2~3회 투석을 하는 경우 단백질은 1.0~1.2g/kg (표준체중)을 공급하고 생물가가 높은 식품으로 제공하도록 해야 합니다. 나트륨은 1일 2000~3000mg으로 제한하고 혈액투석 환자에게 칼륨 제한은 필수적입니다.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의 손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이 포함된 종합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 지속성 복막투석은 복막 내에 투석액을 주입하고 복막을 통하여 체내의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자가투석방법입니다. 이때 식사요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단백질은 양의 질소 평형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1kg당 1.2~1.3g이 요구되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열량 요구량은 표준체중 1kg당 30~35kcal 정도입니다. 주의사항은 총열량에서 투석액에서의 열량 흡수량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합니다. 부종, 갈증,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나트륨은 3000~4000mg 정도로 섭취하고 수분 섭취 제한은 고혈압이나 부종일 경우 제한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칼륨의 제한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인은 표준체중 kg당 18mg 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투석으로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의 손실이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 등이 포함된 비타민제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 신결석증은 소변의 성분이 결정화되어 나타납니다. 신장결석의 치료는 요중 결정물질의 용해와 배설을 촉진하고, 결정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신결석증의 식사요법으로는 결석 원인별로 다릅니다.

1. 수산칼슘 결석, 인산칼슘 결석 : 동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칼슘의 배설이 증가하므로 과량의 생선, 육류, 달걀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칼슘은 600~800mg 정도로 권장합니다. 나트륨을 중정도로 제한합니다. 식사 내 수산을 제한해야 하고 수산이 비타민C의 최종 대사산물이므로 비타민C 복용은 삼가야 합니다. 수분 섭취량은 시간당 약 250~300ml 정도로 증가시키도록 합니다.

2. 요산 결석 : 동물성 단백질 식품은 제한하고, 통풍과 같은 퓨린 대사이상 환자들은 퓨린의 함량을 조절해야 하므로 육류, 전곡, 두류 섭취량을 감소시켜야 합니다.

3. 시스틴 결석 : 수분을 하루 4L이상 섭취하고 알칼리성 식사요법을 병행하여 소변의 PH를 7.5 정도로 유지해야 합니다.


신장질환을 위한 식품교환표가 따로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dclub.com/iyagi/ur_10.htm

 

식사요법-식품교환표

단백질, 나트륨, 칼륨 조절을 위한 식품교환표 신장질환의 경우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노폐물의 혈중 농도의 상승으로 초래될 수 있는 부종, 고혈압, 요독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식사 조절��

www.kdclub.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