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폐렴, 폐결핵, 폐기종, 천식, 폐쇄성폐질환(호흡기 질환) 식사요법(식이요법)

- 유행성 감기는 과로하거나 영양상태 불량, 한랭과 습기 또는 오염된 환경 속에서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 상부기도에 바이러스가 염증을 일으켜서 유발됩니다. 감기에 걸리면 고열 때문에 체내 영양물질과 에너지의 소모가 큽니다. 따라서 고열량, 고단백질, 고비타민 식사를 해야 합니다. 특히 비타민C를 다량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환자의 몸을 보온해야 하므로 차가운 음료나 음식은 피하고 우유는 반드시 데워서 제공해야 합니다. 감기 환자가 식사량이 적으면 회복이 지연되므로 환자의 기호도와 소화 상태에 따라 달걀, 두부, 국, 죽 등을 적절히 공급하도록 합니다.


- 폐렴은 폐의 말단 조직인 폐포, 폐포낭, 폐포관 등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초기 감기 증상이 약화되어 폐렴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와 노인은 폐렴을 방치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식사요법은 대사항진으로 영양소 소모를 보충하고, 발열에 의해 소진된 수분과 나트륨을 보충해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에너지, 고단백질, 고비타민 식사로 2~3시간 간격, 자주 소량씩 공급하여 심장부담을 덜고, 소화가 잘되는 반유동식 식사를 제공해야 합니다.


- 폐결핵은 폐가 결핵균에 의해 감염되어 폐에 염증이 생긴 질병입니다. 식사요법으로 열량은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고 단백질은 많은 소모가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단백질 공급이 중요합니다. 지방 역시 열량원으로 충분히 제공해야 하며 소화가 잘되는 유지식품, 버터, 우유 등을 많이 이용하도록 합니다. 무기질과 비타민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 만성 폐기종은 주로 흡연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입니다. 식사요법은 호흡근육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영양결핍을 교정하고 수분균형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금연이 우선이며 고열량, 고단백질 식사를 해야 합니다. 농축된 식품을 소량으로 자주 공급하고 식이섬유가 많거나 질긴 음식은 피하며, 부드럽게 조리하여 공급하도록 합니다.


- 기관지 천식이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때때로 협착을 일으켜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기관지 천식은 절대 금연을 해야 하며 꽃가루와 같이 천식을 일으키는 물질은 가능한 피하도록 합니다. 충분한 영양과 무기질, 비타민 등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항상 건강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 과로하지 않는 생활습관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폐와 기도를 통하여 기도하부 쪽에 만성적인 폐색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흡연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식사요법으로 역시 고열량, 고단백 식사를 원칙으로 합니다. 하지만 비만 환자의 경우 호흡기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점진적인 체중감량을 위해 열량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지방을 주 에너지원으로 하고 이산화탄소의 생성이 많은 탄수화물은 제한해야 합니다. 음식은 부드럽게, 가스가 많이 생기는 음식은 제한하며, 식이섬유소가 많은 채소는 점차적으로 섭취량을 늘리도록 합니다. 끝으로 충분한 수분 섭취와 소량씩 자주 식사를 공급해야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