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달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녀학비 보조수당과 육아휴직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하게 보고싶으신 분들은 굵은 글씨만 봐 주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자녀학비 보조수당입니다. ① 초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중학교에 대해서는 재외공무원의 경우에만 적용한다. 이하 같다) 또는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자녀가 있는 공무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제1기분은 2월(신입생의 경우는 3월), 제2기분은 5월, 제3기분은 8월, 제4기분은 11월의 보수지급일(재외공무원의 국외학교 취학 자녀에 대해서는 신청서의 접수일부터 15일 이내)에 자녀 1명당 별표 6의 지급 구분에 따라 자녀학비보조수당을 지급한다. 다만, 자녀가 법령에 따라 학비가 면제되거나 학비가 무상인 학교에 다니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이..
안녕하세요? 요즘 교원 수당 포스팅하면서 저도 관련 지식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족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족수당 ① 공무원으로서 부양가족이 있는 사람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별표 5에 따른 가족수당을 지급하되, 부양가족의 수는 4명 이내로 한다. 다만, 자녀의 경우에는 부양가족의 수가 4명을 초과하더라도 가족수당을 지급한다. ② 제1항에서 부양가족이란 부양의무를 가진 공무원과 주민등록표상 세대를 같이하는 사람으로서 해당 공무원의 주소나 거소에서 현실적으로 생계를 같이 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재외공무원의 부양가족은 제1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한정한다)을 말한다. 다만, 취학·요양 또는 주거의 형편이나 공무원의 근무형편에 따라 해당 공무원과 별거하고..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전수당과 교직수당 그리고 교직수당 가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나이스에서 급여를 볼 때, 교직수당 또는 보전수당 또는 교직수당 가산금 뒤에 숫자가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교직수당 가산금의 경우 1부터 10까지 있으며 법에 그 내용이 명시되어 있죠.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별표11] 특수업무수당 지급 구분표 - 2. 교육 및 연구분야'에서 '나. 교원 등에 대한 보전수당'과 '다. 교직수당'에 그 내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먼저 보전수당입니다. 1) 국공립의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근속연수 5년 미만의 교원(고등학교에 준하는 각종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을 포함한다)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가) 「도서·벽지 교육진흥법」 제2조에 따른 도서·벽지..
안녕하세요. 달지입니다. 오늘은 초과근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거는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6장 초과근무수당 등 제15조(시간 외 근무수당)입니다. 내용으로는 근무명령에 따라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사람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한다고 되어있습니다. 시간외근무수당은 매 시간에 대하여 해당 공무원에게 적용되는 기준호봉인 '별표 12'의 209분의 1의 150퍼센트를 지급한다고 합니다. = 기준호봉의 봉급 x0.55/209x1.5 기준호봉인 별표 12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러니까 교원의 경우 3번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호봉마다 다른 것이 아니라, 이렇게 시간외근무수당을 위한 기준호봉이 따로 책정되어 있었네요. 기준 호봉에 따른 2020학년도 봉급표도 첨부하겠습니다. 예시 ..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육공무원(교원) 수당 중 '정근수당과 정근수당 가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원기준으로만 보기 쉽게 작성하려고 했으나, 혹시 몰라 전체적인 공무원 내용을 적었습니다. 필요한 부분만 골라서 봐 주시면 되겠습니다. 출처는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 입니다. 기준은 오늘인 2020년 6월 27일입니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정근수당)에 보면 공무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근무연수에 따라 매년 1월과 7월의 보수지급일에 별표 2의 지급 구분에 따라 정근수당을 지급한다고 되어있습니다. 아래는 별표 2입니다. 2번의 정근수당 가산금은 정근수당을 우선 설명드린 후 설명드리겠습니다. 1월에 지급되는 정근수당은 1월 1일 현재 공무원의 신분을 보유하고 봉급이 지급되는..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교 내 학생자치활동의 목적과 유의사항, 필요성과 대표적인 학생회, 학급회 활동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학생자치활동의 의의 학생자치활동은 학생들과 관련된 학교의 여러 의사 결정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그들의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참여 역량을 학습하기 위한 활동이다. 2. 근거 : 초중등교육법 제17조,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9조 제1항 제8호 3. 유의사항 학생자치활동을 위해서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원들의 조력과 지도가 중요하다. ‘창의적 체험활동’ 중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 학생자치활동의 의미와 목적 ‘자치’란 구성원이 ‘스스로 다스린다’는 의미로, 자주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