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 효능과 구성 성분
- Nutrition&Food
- 2020. 9. 14.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미역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해조류입니다. 미역을 따서 여러개를 한데 붙여 말리거나, 염장하여 실 모양으로 한가닥씩 말려서 판매하죠.
미역 구성성분
미역에는 카로티노이드 색소의 일종인 푸코잔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갈색, 황갈색을 내는 색소가 존재합니다. 탄수화물 함량이 48%지만 이것은 전분이나 당처럼 몸속에서 에너지의 급원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에너지의 급원으로 사용되지 않는 어떤 성분들이 들어있냐면요. 알긴산에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결합된 알긴이 20~30%, 만니톨이 10~20%, 라미나린이 1~10%, 푸코이딘, 헤미셀룰로오스 등의 주로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미역에는 단백질 함량이 10%로 높은 편입니다. 다른 식물성 단백질과는 달리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가도 매우 높습니다.
미역에는 무기질 또한 많습니다. 왜냐하면 해조류들은 바닷물에 있는 무기질을 흡수하여 축적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거든요. 미역의 칼슘 함량은 바닷물 중의 칼슘 함량의 약 4,000배라고 합니다. 또 요오드는 수천 수만 배에 이르는 양을 농축해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또한 칼슘의 경우 칼슘이 함유되어 있는 다른 식품들에 비해 체내 흡수율이 더 높은 것으로 추측되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합니다. 미역 중 철의 함량 역시 많다고 합니다.
미역 효능
미역에 들어있는 다당류는 영양소로서의 가치는 없으나 식이성 섬유로서 장의 운동을 자극합니다. 그래서 다른 영양소의 소화 흡수를 돕습니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비만을 방지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며, 혈압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게 대표적인 효능입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렸듯 무기질이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효능도 추가되겠지요. 특히 산후조리할 때 미역국을 먹는 이유는 요오드와 연관이 있는데요. 요오드는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중추신경계 발달에 관여하며 체내 대사율을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티록신과 트리요오드티로닌의 구성 성분이 되는 필수 무기질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아기를 낳고 고장 난 몸을 조금 더 빨리 효과적으로 고쳐주는 부품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utrition&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요네즈 만들기 레시피, 마요네즈 분리 시 재생하기 (0) | 2020.09.20 |
---|---|
튀김 바삭하고 맛있게 튀기는 방법(기름 선택부터 튀김옷 재료까지) (0) | 2020.09.18 |
비타민D가 부족하면 코로나 감염 확률이 높아진다?! (0) | 2020.09.09 |
김치 발효 원리와 온도, 김치 발효과정, 성분변화와 산패 (0) | 2020.08.24 |
야채의 신선도 유지, 보관 방법, 데치는 이유, 채소 성분 손실 줄이는 방법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