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지침, 식품 알레르기 대체식품과 증상
- Nutrition&Food
- 2020. 10. 7.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품 알레르기란?
우리 몸 속에 들어오는 병균을 물리치는 능력을 면역력이라 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같은 면역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식품 알레르기는 특정 식품에 대한 면역학적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알레르기'란 '과민반응'을 뜻하는 말로 단백질로 이루어진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알레르겐'이 원인이 됩니다. 식품 알레르기는 식생활의 변화와 위생 수준의 개선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전체 어린이의 5~8%, 어른의 3~4%가 식품 알레르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부모님 중 한 명이 식품 알레르기 환자라면 자녀는 식품 알레르기 발생률이 2배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렇듯 식품 알레르기는 신체의 면역기능이 반응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소량 노출에도 단시간 내 두드러기, 가려움, 비염, 천식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아토피 피부염과 식품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는 아토피를 유발하는 일부 원인입니다. 아토피 피부염과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 삼총사로 전체 아토피의 30~50%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을 섭취한 것이 원인이 됩니다. 또한 아토피는 음식 외에도 실내 곰팡이, 꽃가루, 진드기, 애완동물의 털,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기도 합니다.
발생 원인?
원인은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어린이가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늘어서 실내 집먼지진드기 접촉이 늘고, 모유를 과거보다 덜 먹고, 여성의 흡연율이 증가하고, 맞벌이가 증가함에 따라 혼자 지내는 아이들이 증가하고, 서구식 식사와 인스턴트 음식 섭취의 증가, 심리적 불안감, 스트레스, 영양과잉 등이 있습니다. 즉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발생하게 됩니다. 요즘 아이들은 너무 청결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이라는 '위생가설'도 있다고 합니다.
알레르기 유발 식품
- 달걀 : 달걀이나 함유식품을 만지기만 해도 피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독감 백신 등에도 유정란이 사용되기 때문에 주의 필요.
- 밀 : 글루텐이 알레르기를 유발, 유발 능력은 떨어지지만 호밀이나 보리 귀리에도 포함되어 있음. 밀 알레르기 환자는 글루텐 프리 곡류 섭취를 권장.
- 콩 : 콩은 물론이고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유부, 콩나물, 콩가루, 콩기름까지 반응을 보일 수 있음.
- 땅콩 :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며 독성 알레르기 유발 성분인 '렉틴'이 포함되어 있음. 특히 콩 알레르기를 함께 가진 경우가 있으므로 살펴봐야 함.
- 견과류 : 호두나 아몬드 밤 등 견과류 알레르기로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기 쉬움. 소량 섭취했을 때 알레르기 증상이 있다면 즉시 섭취를 중단해야 함.
- 과일 : 사과, 살구, 바나나, 체리, 키위, 멜론, 복숭아, 파인애플, 자두, 딸기, 배 토마토 등 알레르기가 있지만 증상이 가볍고 드뭄. 이 때는 조리해서 섭취하거나 껍질을 미섭취해야 함.
- 해산물 : 조개, 새우, 게, 랍스터, 문어, 오징어, 낙지, 고등어, 꽁치를 포함한 바다에서 사는 모든 생물을 말하며 굉장히 많은 편임. 따라서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으며 외식 시 직원에게 본인이 알레르기 환자임을 알리고 해산물과 2m 이상 거리 두기로 예방해야 함. 흰 살 생선보다는 등 푸른 생선이 알레르기를 더 많이 일으키며 이 경우 갑각류에 교차반응(유사 다른 식품을 먹었을 때도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반응)으로 알레르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알레르기 질환 시 유의사항
- 알레르기 유발하는 해당 식품은 섭취하지 않도록 할 것
- 육식 금지 등 일괄적인 식품군 배제시 필요 영양소 섭취가 불가하여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음
- 유기농이라도 알레르기 유발 식품 섭취라면 증상이 발생함
대체 식품
예를 들어 콩, 우유, 달걀 알레르기인 경우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게 되므로 단백질 대체 식품을 찾아 먹을 것을 권장합니다. 곡류 알레르기라면 주 영양소가 탄수화물이므로 탄수화물 대체식품을 찾아 먹으면 되며, 고기, 생선, 계란, 콩류 알레르기라면 앞서 말씀드린대로 단백질 대체식품을 찾아 섭취하면 되며, 채소류 알레르기라면 다른 채소나 과일 식품을 찾아 먹으면 됩니다. 유제품도 같은 유제품 군에서 대체 식품을 찾아 섭취하면 됩니다.
식품 알레르기 예방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유발식품을 먹지 않는 '회피 요법'이 최선의 예방입니다. 그 이후 대체식품을 찾아 섭취하면 됩니다. 식약처에서는 식품 라벨 의무 표시 식품으로 22가지를 선정하였는데요.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아황산류, 복숭아, 토마토, 호두, 닭고기, 알류, 쇠고기, 오징어, 조개류, 잣이 그것입니다. 따라서 이 식품 라벨을 확인하고 섭취에 주의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utrition&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선 효능과 영양소, 맛성분 (0) | 2020.10.22 |
---|---|
소고기 부위별 용도와 특징(요리에 맞는 부위 선택하기) (0) | 2020.10.21 |
방사능이란 무엇인가? 식품 방사능은 안전한가? (0) | 2020.10.03 |
식중독 예방법과 종류 간단 정리, 대표 사례와 노로바이러스 (0) | 2020.10.01 |
고기 맛있게 굽는법(고기 굽기 정도에 따른 온도와 색깔 변화까지)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