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의 치료 케톤식 식사요법과 치매 종류(알츠하이머, 혈관성, 노인성) 그리고 식사요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질과 치매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질은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며, 발작은 뇌신경세포가 급작스럽게 과도한 전기를 방출시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간질의 원인으로는 유전, 출생 시의 뇌 손상, 머리의 이상, 뇌의 감염, 알코올 중독, 중금속 중독, 혈액의 성분 이상 등이며 이러한 많은 원인이 있더라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50%나 된다고 합니다.


 

간질의 식사요법은 바로 케톤식입니다. 케톤식을 통해 발작 조절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케톤식이란 당질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지질을 총 에너지 섭취량의 80~90%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몇 년 전 케톤식 다이어트가 유행했었죠? 큰 틀은 같지만 세부적으로 다이어트식과 환자 치료식 케톤식은 다릅니다. 간질 치료 케톤식은 극도로 맛이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은 섭취하기가 힘들고 성인의 경우에도 오래 하는 것이 힘들 정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식사를 맛있게 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네요. 대표적으로 열량이 적은 감미료로 단맛을 낸다거나, 크림과 달걀을 이용하여 커스터드를 만들거나, 크림과 채소즙을 혼합한 크림수프를 만드는 방법, 젤라틴을 사용한 후식으로 식욕 돋우기, 기름과 마요네즈를 이용한 샐러드 만들기 등이 있습니다.

 

 

 

치매는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기억과 인지능력이 점차적으로 소실되는 정신적 죽음을 말합니다. 저도 이 치매를 생각하면 항상 두렵습니다. 육체적인 죽음보다 정신적인 죽음이란, 소중한 사람도 기억하지 못하는 너무 슬픈 질환 아닐까요..? 하지만 사람은 나이들고 노화가 진행되면 누구도 치매를 피해 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무서운 치매가 오기 전에 대처 준비를 해 두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치매에는 원인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뉩니다. 가장 흔한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혈관성 치매(다발성 뇌경색성 치매), 마지막으로 노인성 치매입니다.


알츠하이머의 원인은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위험요인이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물질들이 있긴 하지만 아직 명확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혈관성치매는 뇌에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서 뇌혈류가 장애를 받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고혈압, 흡연,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 같은 순환기계 질환이 원인이 됩니다. 혈관성 치매는 알츠하이머와는 달리 완치될 수는 없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악화는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혈관성 치매의 식사요법으로는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므로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심혈관질환의 식사요법에 준하여 실시해야 합니다.

 

 

https://ell90.tistory.com/7?category=934069

 

심혈관계질환(고지혈증, 고혈압, 심부전, 심근경색) 식사요법

1. 고지혈증 : 혈액 내에 중성지방 또는 콜레스테롤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합니다. 고지혈증의 영양관리 목표는 혈중 지질 수치를 정상화하여 동맥경화 유발 가능성을 낮추고 질병 진행의 속도를 낮추..

ell90.tistory.com


 

노인성 치매는 노화로 인한 뇌의 위축으로 뇌의 기능 저하로 일어나게 됩니다. 노화로 일어나기 때문에 주로 노년기에 발생합니다. 노인성 치매 환자는 높은 감염률, 에너지 소모량 증가, 식욕부진으로 인한 부적절한 식사 섭취로 체중감소와 탈수의 위험이 높습니다.

 

구체적인 식사지침으로는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을 제공하고, 비타민E, 셀레늄, 콜린을 충분히 공급하며 수분을 적절히 섭취해야 합니다. 또 간식을 자주 먹게 하며 도구 사용이 어려울 경우 손가락 음식을 제공하며 천천히 식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댓글 달아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